[처음 시작하는 파이썬] ch3. 숫자

2023. 1. 18. 18:45파이썬

3.1 불리언

불리언 데이터 타입의 유일한 값은 True와 False입니다.

 

bool() : 모든 파이썬 데이터 타입을 불리언으로 변환한다.

print(bool(1))
True

3.2 정수

- 3.2.1 리터럴 정수

1, 2, 3, -1 (음수 표현)

=> 이런 정수들이 리터럴 정수입니다.

print(1,000,000)
print(1_000_000)

=> 정수에 , 못 씁니다. 튜플로 인식하기 때문입니다.

=> 굳이 정수 단위 구분하고 싶다고 하면 언더바(_)로 표현해줍니다.

 

- 3.2.2 정수 연산자

+ 더하기

- 빼기

* 곱하기

// 나누기

% 나머지

** 지수 ^

 

- 3.2.3 정수와 변수

정수 값이 할당된 변수와 리터럴 정수를 혼합해서 쓸 수 있습니다.

a = 95
a = a - 3
print(a)
92

 

divmod() : 몫과 나머지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.

print(divmod(9, 5))
(1, 4)

- 3.2.4 연산 순서

일반적인 수학 연산 순서를 생각하면서

파이썬에서도 곱셈을 먼저 계산하고 덧셈을 나중에 계산하는 순서입니다.

 

연산 순서가 헷갈릴 때는 괄호를 이용하여 연산 순서 지정해줘서

명확하게 해주면 됩니다.

 

- 3.2.5 진수

  • 2진수(binary) : 0b 혹은 0B
  • 8진수(octal) : 0o 혹은 0O
  • 16진수(hex) : 0x 혹은 0X
print(10)  # 10진수 10
print(0b10)  #2진수 10진수로 표현하면 : 2
print(0o10)  #8진수 10진수로 표현하면 : 8
print(0x10)  #16진수 10진수로 표현하면 : 16
10
2
8
16

진수를 그대로 print 해주면 10진수 변환한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bin() : 10진수에서 2진수로 바꾼다.

print(bin(2))
0b10

 

oct() : 10진수에서 8진수로 바꾼다.

print(oct(8))
0o10

 

hex() : 10진수에서 16진수로 바꾼다.

print(hex(16))
 0x10

 

chr() : 정수를 단일 문자열로 변환한다.

print(chr(65))
A

 

 

ord() : 단일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한다.

print(ord('A'))
65

 

- 3.2.6 타입 변환

 

int() : 다른 데이터 타입을 정수 타입으로 변환한다.

print(int(True))
print(int(False))
1  # True
0  # False

 

bool() : 정수에 해당하는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.

print(bool(1))
print(bool(100))
print(bool(0))
True # 0외의 값
True  # 0외의 값
False # 0

 

3.3 부동소수점 숫자

정수는 숫자만으로 구성되어있지만, 부동소수점 숫자는 소수점이 있습니다.

실수를 컴퓨터로 표현해주는 겁니다.

 

부동소숫점 숫자는 문자 e와 정수인 지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

print(5e1)
print(5.0e1)
print(500.0e1)
50.0
50.0
5000.0

 

float() : 부동소수점 숫자로 타입 변환

print(float(True))
print(float(False))
1.0
0.0